top of pag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ivil Socie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Ad-hoc Lab

On the one hand, civil society fulfills the function of monitoring and criticizing governments at risk of becoming autocratic and ruling against the will of the people, while on the other hand, it enhances democracy qualitatively by nurturing citizens who possess qualities befitting democratic citizens, thereby guarding against the risk of devolving into mere majority rule.

In this ad hoc lab, the following investigations are undertaken. Firstly, we explore theoretically what role civil society should play in the order of liberal democracy. For instance, we raise questions such as, "Is the role of civil society to monitor and prevent the tyranny of power,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 or to engage in the reproduction and contemplation of public discourse that aligns with societal demands?" We then derive the role of civil society suitable for the current order of liberal democracy.

Secondly, we analyze the nature of civil society and its moral structure. Furthermore, we theoretically approach how 'moral individualism' can be realized within civil society, particularly examining historical cases such as the secularization of the late 19th-century French education system from Catholic influence to illustrate how moral individualism can be revitalized within civil society.

Thirdly, to contemplate an image of civil society suitable for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we politically and historically trace the existence of civil society in Korea. Specifically, to derive an image of civil society suitable for the context of Korea, we examine the civil society during the era of Park Chung-hee. Park Chung-hee mobilized the pretext of advocating for national democracy to sign the Korea-Japan Agreement, raising questions about national identity. Through examining the responses of Korean civil society, including academia, to issues related to national identity, we explore the identity of Korean civil society.

본 애드 혹 랩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한다. 첫째로, 자유민주주의의 질서에 적합한 시민사회의 역할이 무엇인지 이론적으로 탐색한다. 예를 들어, ‘시민사회의 역할은 권력의 독주를 감시하고 방지하는 데에 방점이 있는가, 아니면 민주 시민의 양성인가, 사회적 요구에 걸맞는 공론의 재생산과 숙고인가‘의 질문을 제기하고, 현재의 자유민주주의의 질서에 적합한 시민사회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도출한다.
둘째로, 시민사회의 성격과 그것의 도덕적 구조를 분석하고, 나아가 어떤 시민사회에서 ’도덕적 개인주의‘가 실현될 수 있는지를 이론적으로 접근할 것이며, 특히 19세기 말 프랑스의 교육과정이 카톨릭으로부터 세속화되는 역사적 사례를 통해 어떻게 시민사회에서 도덕적 개인주의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지 예증할 것이다.
셋째로, 한국 사회의 맥락에 적합한 시민 사회의 상像을 숙고하고 그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한국 사회에 존재했던 시민사회의 모습을 정치사적으로 추적한다. 한국 사회의 맥락에 적합한 시민사회의 상像을 도출하기 위해 그 중에서도 박정희 시대의 시민사회를 살펴본다. 박정희는 민족적 민주주의를 주장하며 국민을 위한다는 명분 아래, 한일협정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민족을 위한다는 수사를 동원한다. 이 과정에서 민족의 정체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며 이와 관련한 한국 학계를 비롯한 시민사회의 대응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한국 시민사회의 정체성을 탐색한다.

Name

Name

Describe your image

Add a Title

Add a Title

Describe your image

Add a Title

Add a Title

Describe your image

Add a Title

Add a Title

Describe your image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