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Multimodal Legislative Analysis Ad-hoc Lab

The Multimodal Legislative Analysis (MLA) Lab focuses on analyzing unstructured data such as text, audio, video, and photographic data, which are gaining increasing scholarly attention. Our lab particularly welcomes researchers interested in the legislatures of South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those interested in collecting, cleaning, and analyzing multimodal data.

While studies on legislative voting and the analysis of minutes are valuable methodologies for understanding political processes, some important unstructured data remain largely overlooked and underutilized by scholars. In addition to existing research that focuses on minutes and text-as-data, we suggest it is imperative to integrate audio-as-data and video-as-data with existing findings to reinterpret these results. We expect these novel approaches and the construction of such datasets to contribute to a more 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legislative decision-making process.

This student-led Ad hoc Lab not only aims to analyze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existing literature on Korean National Assembly text-as-data studies but also plans to systematically aggregate and categorize video, text, and audio data using computer-assisted methodologies and resources.
Furthermore, our lab plans to create a guide for both Korean National Assembly data and U.S. Congress data, with the goal of making the data more open, transparent, and accessible to scholars interested in this field. As a research output, we plan to write a research article that applies novel datasets and methodologies.

정치 과정 연구에서는 입법부의 표결, 회의록 분석 등 다양한 연구 데이터와 방법론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데이터들은 재해석의 필요성이 있으며, 과학적 접근법을 통해 새로운 데이터 정리가 필수적이다.

기존의 표결 데이터 분석 및 회의록 텍스트 분석(text-as-data)은 유의미한 연구 결과물들을 제시해왔지만, 이를 넘어서 다중 양식 (multimodal) 방식, 즉 표결 자료 뿐만 아니라 텍스트, 음성(audio-as-data), 영상(video-as-data) 자료를 통합하여 새로운 정치학적 해석을 시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분석은 입법부 내 의사결정 과정을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본 학생 주도 애드혹 랩은 기존 대한민국 국회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들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분석하고, 컴퓨팅 자원과 기술을 활용해 텍스트, 음성, 영상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정리하는 것을 주 목표로 한다. 또한, 대한민국 국회 데이터 뿐만 아니라 미국 의회 데이터를 한국 연구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작성하고, 다중 양식 방식으로 데이터 정리를 시도할 예정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정리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신 정치학 방법론을 적용한 학술 논문을 작성할 계획이다.

Name

Name

Describe your image

Add a Title

Add a Title

Describe your image

Add a Title

Add a Title

Describe your image

Add a Title

Add a Title

Describe your image

bottom of page